장고란?
장고는 파이썬으로 작성된 고수준의 웹 프레임워크로, 빠르게 웹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할 수 있게 도와줍니다. "장고"라는 이름은 유명한 재즈 기타리스트 Django Reinhardt에서 유래하였으며, 개발자들이 웹 애플리케이션을 쉽고 빠르게 만들 수 있도록 설계되었습니다. 특히, 데이터베이스 관리, 사용자 인증, URL 라우팅 등 기본적인 웹 애플리케이션의 필수 요소를 내장하고 있어 개발 시간이 크게 단축됩니다.
장고는 파이썬으로 작성된 고수준의 웹 프레임워크로, 빠르게 웹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할 수 있게 도와줍니다. "장고"라는 이름은 유명한 재즈 기타리스트 Django Reinhardt에서 유래하였으며, 개발자들이 웹 애플리케이션을 쉽고 빠르게 만들 수 있도록 설계되었습니다. 특히, 데이터베이스 관리, 사용자 인증, URL 라우팅 등 기본적인 웹 애플리케이션의 필수 요소를 내장하고 있어 개발 시간이 크게 단축됩니다.
장고는 파이썬으로 개발된 프레임워크이므로, 먼저 파이썬을 설치해야 합니다. 파이썬은 공식 웹사이트에서 다운로드할 수 있습니다. 최신 버전의 파이썬을 설치하는 것이 좋습니다. 설치 후, 커맨드 라인에서 python --version 명령어로 설치가 제대로 되었는지 확인할 수 있습니다. 파이썬이 잘 설치되면 장고도 문제없이 설치할 수 있습니다.
장고 프로젝트를 시작하려면 먼저 장고가 설치되어 있어야 합니다. django-admin startproject 프로젝트명 명령어를 통해 새 프로젝트를 생성합니다. 예를 들어, django-admin startproject mysite 명령어로 mysite라는 이름의 프로젝트를 생성할 수 있습니다. 이 명령어는 프로젝트의 기본 디렉토리 구조와 필수 파일들을 자동으로 생성해줍니다. 생성된 폴더 안에는 settings.py, urls.py 등의 중요한 파일이 포함됩니다.
장고에서는 프로젝트 내에 여러 개의 앱을 만들어 각기 다른 기능을 관리할 수 있습니다. 앱을 만들려면 python manage.py startapp 앱명 명령어를 사용합니다. 예를 들어, blog라는 앱을 만들고 싶다면 python manage.py startapp blog를 입력합니다. 이 명령어로 생성된 앱 폴더에는 기본적인 디렉토리 구조와 템플릿, 모델, 뷰 등을 정의할 수 있는 파일들이 포함됩니다.
장고에서 모델은 데이터베이스 테이블을 정의하는 Python 클래스를 의미합니다. 각 모델 클래스는 데이터베이스의 한 테이블에 대응하며, 클래스의 속성은 테이블의 열(Column)에 대응합니다. 예를 들어, Post 모델에서는 제목과 내용을 나타내는 title, content 같은 속성을 정의할 수 있습니다. 모델을 사용하면 SQL 쿼리 없이 데이터베이스 작업을 할 수 있게 됩니다. 장고의 ORM(Object-Relational Mapping)을 활용해 데이터를 객체처럼 다룰 수 있는 장점이 있습니다.
장고에서 URL 패턴은 웹 애플리케이션의 URL 경로와 그 경로에 대응하는 뷰(View)를 연결하는 역할을 합니다. 각 URL 패턴은 특정 뷰 함수와 매핑되어, 사용자가 요청한 URL을 처리할 수 있게 합니다. 예를 들어, urls.py 파일에 path('blog/', views.blog_list)처럼 URL 경로와 해당 뷰를 연결할 수 있습니다. URL 패턴은 장고의 URL 디스패처가 요청을 처리하는 데 필수적인 요소입니다.
장고에서 뷰(View)는 사용자의 요청을 처리하고 적절한 응답을 반환하는 함수나 클래스를 말합니다. 뷰는 웹 애플리케이션의 핵심 부분으로, URL과 연결되어 특정 작업을 처리합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http://127.0.0.1:8000/post/1와 같은 URL로 접근하면, 해당 요청을 처리할 뷰가 실행되어 데이터베이스에서 필요한 정보를 조회하고 그 결과를 HTML, JSON 등의 형식으로 응답합니다. 뷰는 views.py 파일에 작성됩니다.
장고에서 템플릿은 웹 페이지의 HTML 구조를 동적으로 생성하는 데 사용되는 파일입니다. 템플릿은 서버 측에서 데이터를 받아와 사용자에게 보여줄 최종 HTML 페이지를 만듭니다. 템플릿 내에서는 장고의 템플릿 언어를 사용하여 변수 출력, 반복문, 조건문 등을 작성할 수 있습니다. 템플릿 파일은 일반적으로 templates 디렉토리 내에 위치하며, .html 확장자를 가집니다. 이를 통해 동적인 웹 페이지를 생성할 수 있습니다.
장고 폼은 사용자로부터 데이터를 입력받고 처리하는 기능을 제공하는 도구입니다. 폼은 HTML <form> 태그와 비슷하지만, 장고의 폼 시스템은 데이터 유효성 검사와 자동화된 HTML 생성 등을 지원합니다. 장고 폼은 주로 forms.py 파일에서 정의되며, ModelForm과 Form 클래스를 통해 다양한 방식으로 작성할 수 있습니다. 장고 폼은 사용자 입력에 대한 유효성 검사를 자동으로 처리하여 보안을 강화하고 오류를 줄이는 데 유용합니다.
장고의 관리자(Admin)는 Django 애플리케이션의 데이터를 관리할 수 있는 웹 기반 인터페이스입니다. 이를 통해 사이트의 데이터를 편리하게 수정, 추가, 삭제할 수 있으며, 특히 데이터베이스에 접근할 필요 없이 관리자 페이지에서 관리 작업을 할 수 있습니다. 기본적으로 제공되는 관리자 페이지는 매우 강력하고 사용하기 쉬운 기능을 제공하여 비개발자도 쉽게 데이터 관리를 할 수 있도록 돕습니다. 관리자 인터페이스는 django.contrib.admin 패키지를 통해 활성화됩니다.
ORM(Object-Relational Mapping)은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 언어로 관계형 데이터베이스를 다룰 수 있는 기술입니다. 장고의 ORM은 데이터베이스와 상호작용하는 데 사용되는 시스템으로, SQL 쿼리 없이 데이터베이스의 데이터를 다룰 수 있게 해줍니다. 장고 모델을 정의하고, 이를 바탕으로 데이터베이스에서 데이터를 조회, 삽입, 수정, 삭제하는 작업을 객체처럼 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개발자는 더 직관적이고 코드가 간결한 방식으로 데이터베이스와 상호작용할 수 있습니다.
장고는 기본적으로 SQLite를 데이터베이스로 사용하지만, 다른 데이터베이스(MySQL, PostgreSQL 등)와도 쉽게 연결할 수 있습니다. 데이터베이스 연결 설정은 프로젝트의 settings.py 파일 내 DATABASES 항목에서 정의합니다. 기본적으로 제공되는 설정을 수정하여 사용할 데이터베이스 엔진, 이름, 사용자, 비밀번호 등을 지정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PostgreSQL을 사용하려면 ENGINE을 'django.db.backends.postgresql'로 설정하고, 필요한 데이터베이스 정보들을 입력합니다.
장고는 기본적으로 사용자 인증 기능을 제공하며, 이를 통해 로그인, 로그아웃, 비밀번호 변경, 회원 가입 등의 기능을 구현할 수 있습니다. 장고의 인증 시스템은 django.contrib.auth 앱을 사용하여 제공되며, User 모델을 통해 사용자 정보를 관리합니다. 인증 시스템을 사용하면 사용자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에 안전하게 저장하고, 세션 관리 및 권한 부여 등 다양한 기능을 쉽게 처리할 수 있습니다. 기본적으로 장고는 사용자가 로그인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세션 기반 인증 방식을 제공합니다.
장고 프로젝트를 배포하기 전에 먼저 개발 환경에서 프로덕션 환경으로 설정을 변경해야 합니다. settings.py에서 DEBUG 값을 False로 설정하고, ALLOWED_HOSTS에 배포할 서버의 IP 주소나 도메인을 추가해야 합니다. 또한, 데이터베이스와 같은 외부 서비스에 연결하는 설정을 프로덕션 환경에 맞게 수정해야 합니다. 보안을 위해 SECRET_KEY는 환경 변수로 설정하거나 비밀 파일로 관리하는 것이 좋습니다. 배포 전, 모든 미사용 코드를 제거하고, collectstatic 명령어를 사용하여 정적 파일을 수집하는 것도 중요합니다.
장고 ORM을 사용할 때는 데이터베이스 쿼리 수를 최소화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select_related()와 prefetch_related()를 사용하여 외래 키 및 다대다 관계를 효율적으로 처리할 수 있습니다. select_related()는 관련된 객체를 한 번의 SQL 쿼리로 가져오고, prefetch_related()는 여러 쿼리를 병렬로 실행하여 성능을 개선합니다. 또한, values()와 values_list()를 사용해 필요한 필드만 선택하여 쿼리를 최적화하고, 불필요한 데이터를 쿼리하지 않도록 해야 합니다.